풍경: 곤도 유카코, 이혜인
2023. 11. 15 - 12. 23
풍경(風景)은 경치이면서 동시에 어떤 정경이나 상황을 의미한다. 단순히 특정한 곳에 전개된 풍광 자체만이 아니라 대상을 인지하고 정취를 느끼며 형편을 알아채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풍경은 장소를 넘어, 보는 이의 시선과 결부된다. 어디에 있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보는가의 문제이다. 공작새방 다섯 번째 프로젝트 《풍경》에서 이혜인과 곤도 유카코는 누구와도 뚜렷이 구별되는 자신만의 풍경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그것은 지각과 감각이 모인 총체이기도 하고 시간과 이야기가 축적된 공간이기도 하다.
이혜인은 여러 해 동안 야외로 직접 나가 마음이 이끌리는 장소를 찾고 풍경과 함께 예측불허인 현장의 우연적 결과까지 캔버스에 담아왔다. 그곳이 능곡 들판이든 베를린 거리든 구체적인 장소의 재현은 중요하지 않았으며, 자신이 왜 그곳에 머무는지, 그곳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탐구하면서 자기 안에 체화된 기억과 경험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려 했다. 이는 왜 무언가를 그려야 하는지, 특정 대상을 제거할 때 과연 무엇을 그릴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고, 자신의 기억과 상념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을 거치며 내 안의 풍경을 오롯이 마주하게 되었다. 이제 이혜인은 재현적 형태라는 매개를 내려놓고 색, 터치, 움직임만으로 마음속에 떠오른 정경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맑고 환한 대형 유화 작품에는 온화하고 부드러운 빛이 배어든 나무가 한 그루 있다. 조용히 산책하던 헤이리 어느 곳에서 조우한 이 나무에게 작가는 몇 년간 다가가 말을 걸고 인사를 나누고 온기를 느꼈다. 매일같이 달라지는 나무의 빛깔과 형태와 향기와 함께하며 그는 단단하던 마음이 차츰 열리고 다친 관계가 치유됨을 경험했다. 서로에게 서로를 맡기고 안아주며 살리고 교감하는 하나됨이, 존재 자체만으로 부족함 없이 채워지는 생명력이 캔버스에 충만하다. 드로잉 작품들에서는 작가가 직면한 새로운 국면, 순수한 내적 풍경을 열어 보여준다. 풍요로운 감각과 감정에 즉각 반응하기 위해서 그가 택한 재료는 오일파스텔이다. 언젠가 느꼈던 소리, 움직임, 촉감, 지각하고 받아들였던 모든 감각들을 회화적인 언어로 전환해서 끄집어내는 중이며 아마도 이것이 추상으로 가는 과정인 것 같다고 그는 조심스럽게 이야기한다. 다채로운 선과 색채 향연 속에서 우리는 언뜻 익숙한 형상을 떠올리기도 하지만, 작가는 손 가는 대로 나온 결과물일 뿐임을 분명히 한다. 열리지 않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궁금함으로 마음속 흔적을 따라가는 과정이랄까. 전에 모르던 자기 안의 풍경을 하나씩 발견해가는 작가의 소박한 기대감과 반짝이는 희열이 보는 이에게도 흡족히 전해진다.
이혜인은 《L. Practice》(2022, 뮤지엄헤드, 서울), 《Sync》(2018, 신도문화공간, 서울), 《Golden Tree Company》(2016, 갤러리 기체), 《완벽한 날들》(2015, 두산 갤러리, 뉴욕/ 2013, 대구미술관 ‘Y artist project 2’) 등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아우라는 모퉁이에서 만나지》(2021,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서울), 《빈 먼 곳》(2017, 백아트) 등의 2인전을 비롯해 다수의 단체전에 참가하였다. 18th Street Art Center 레지던시 프로그램(2018, 산타모니카), 신도 작가지원 프로그램(2017, 서울), 두산 레지던시(2015, 뉴욕), 종근당 예술지상(2012), 독일 쿤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 입주 작가(2012) 등 다양한 작가 지원 프로그램 및 수상자에 선정된 바 있다. 서울대학교 서양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곤도 유카코의 방 안 풍경은 평생을 알뜰하고 바지런히 가꿔 오신 할머니댁처럼 다정하게 이야기를 걸어오는데, 그렇기에 사람이 완전히 부재한 채 공간과 사물만 남은 상황을 깨닫는 순간 오히려 당혹스럽고 생경하다. 친밀한 이들의 손때 묻은 물건이 빼곡한 사적 공간에 어린 따사로운 애정과 함께, 엄마가 증발해 버린 엄마의 살림, 가족이 소멸해 버린 가족의 터전을 맞닥뜨린 허허로움과 쓸쓸함이 공존하는 것이다. 그의 정물은 하루하루 살아가는 분주한 일상 자체가 죽음과 맞닿아 있다는 사실에 대한 서늘한 감각을 일깨운다. 평온한 혹은 전쟁 같은 일과가 지나간 뒤에 잔해처럼 남겨진 현장은 존재하되 잊혀진다. 누군가 그것을 다시 돌아보고 의미를 부여할 때까지. 그러나 우리의 숨결이 덧없이 사라져도 그 자리는 여전히 계속될 것이기에 곤도 유카코는 오랜 세월 한자리에 뿌리내리고 방의 일부가 되어버린 가구나 기물들 또한 산과 강, 나무와 바위처럼 영원성을 띤 자연으로 받아들인다. 작가는 “눈에 보이는 시각을 포기하고 그 사물에 담긴 이야기, 과거와 미래를 함께 보려 한다”고 설명한다. 지나간 기억과 다가올 예감까지 포함하는 감각이다. 실내의 자연에는 축적된 시간만큼 많은 이야기가 깃들여 있고 따라서 소소한 기물 하나조차 결코 가볍지 않다.
그가 자란 본가를 그린 〈낮잠과 손님〉은 입방체를 해체한 펼친그림 같으면서도 물리 법칙에서 한껏 자유롭다. 모든 요소들은 나름의 시점과 구도로 이야기를 전하고, 관람자는 불가사의한 방식으로 중첩되고 개방되는 마술상자를 들추는 설렘으로 집 안 곳곳에서 벌어질 일들을 상상한다. 가족의 친숙한 공간 속 세월의 더께가 앉은 자개거울, 미처 치우지 못한 시댁의 부엌, 작은할머니의 관심사이자 일상 자체인 자잘한 필수품 같은 것을 꼼꼼하게 기록하면서, 그는 삶의 희로애락 너머 잠잠하지만 묵직하게 흐르는 목소리를 우리에게 들려주려 한다. 그리고 작가 자신이 그러했듯 우리도 그 아름다움으로부터 살아갈 힘과 위로를 얻기를 바란다. 당신과 나의 일상은 지루하지만 소중하고 비루하지만 고귀하므로.
곤도 유카코(近藤 夕夏子)는 《방이 말하다》(2021, 오뉴월 이주헌, 서울), 《Yukako Kondo and the Remembrance of Things past》(2013, Wyckoff House Museum, 브루클린), 《영원한 식탁》(2010, Art Factory, 경기) 등 개인전을 가졌으며, 《Support SARUBIA》(2023,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서울), 《No frame market》(2022, Art B project, 서울), 《설원기 컬렉션: 1+1 소장가의 시선》(2021,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욕망의 방》(2017, 라움 벨크, 뮌헨), 《식탁의 왕》(2017, 엔트레텐포 키친 갤러리, 베를린), 《유니버설 스튜디오 서울》(2014, 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일본 오사카예술대학교 미술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다.
글 - 송연승
.
Poong-gyeong (Scenery/風景) is a view and at the same time can be a scene or situation. You have to perceive the object, feel the atmosphere, and recognize the situation, not simply experience the scenery itself spread out in a specific place. Therefore, Poong-gyeong goes beyond the place itself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iewer's gaze. It's not about where you are, but about what you see. In the fifth project of Gongjaksaebang Poong-gyeong, Hyein Lee and Yukako Kondo show us their own unique scenery --distinct from anyone else's. It is both a collection of perception and senses, and a space where time and stories are accumulated. For several years, Hyein Lee has personally been going outdoors to find places that attract her, and she has even accidently captured unpredictable scenes among and within the surrounding scenery. Whether it was a field in Neunggok or the streets in Berlin, the specific reproduction of a scene wasn't her focus or goal. Rather, she tried to visually express her embodied memories and experiences while considering why she stayed in certain places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she had with them. This led to concerns about why she should draw certain objects and furthermore, when certain objects are removed, what would be left to draw. Through the process of focusing on her own memories and thoughts, she faced the landscape solely inside her. Now, Lee steps away from the medium of representational form and begins to express the scenery that comes to mind only by color, touch, and movement. In a large and bright oil painting, we find a tree infused with gentle, soft light. The artist has been frequently visiting the tree for years--which she encountered somewhere in Heyri while taking a quiet walk--greeting and conversing with it while feeling its warmth. With the everyday change of its color, shape, and scent, she experienced that her stubborn heart gradually opened up. The canvas is filled with a vitality sufficient in its own presence, and a unity where one takes care of another, embraces, saves, and communicates. Her new drawings reveal a new phase the artist is exploring, her pure inner scenery. She chose oil pastel to immediately respond to such rich senses and emotions. Lee cautiously says that she is converting once-felt sounds, movements, touches, and other perceived senses into painterly language, and perhaps this process leans toward abstraction. In the symphony of various lines and colors, we sometimes think of familiar figures at first glance, but the artist makes it clear that the result was drawn by a free-flowing hand. Perhaps it is a process of following traces in the mind, out of curiosity, related to an unopened, unknown world. The artist's sparkling joy of discovering the scenery inside her is also effectively conveyed to the viewers. Hyein Lee has had solo exhibitions such as L. Practice (2022, Museumhead, Seoul), Sync (2018, Sindoh Art Space, Seoul), Golden Tree Company (2016, Gallery Kiche), Perfect Days (2015, Doosan Gallery, New York/2013, Daegu Art Museum), Y Artist Project 2, and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including two-person exhibitions such as Aura, Met at the Corner (2021, Art Centre Art Moment, Seoul) and Absence and Distance (2017, Baik Art, Seoul). She has been selected for various artist support programs and awards, including the 18th Street Arts Center Residency Program (2018, Santa Monica), Sindoh Artist Support Program (2017, Seoul), Doosan Residency (2015, New York), Chongkundang Yesuljisang (2012), and Künstlerhaus Bethanien, Germany (2012). She received her BFA and MFA in Fine Ar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cenery in Yukako Kondo's room speaks to us as if it were our own grandmother's house, carefully kept throughout her whole life. As soon as we realize that only objects fill the room--with no sign of people--the scene becomes rather embarrassing and unfamiliar. Alongside the warm affection of a private space filled with cherished objects from intimate people, we encounter the emptiness and loneliness of facing a family home where the family itself has disappeared, a mother's household goods where the mom has evaporated. Her still life frighteningly awakens the fact that the mundane everyday life is connected with death. After a peaceful or warlike routine, the debris-ridden scene exists but is soon forgotten, until someone looks back on it to give it meaning. Even as we reach the point of death, this place will continue on. With this in mind, Yukako Kondo utilizes furniture and objects that are strongly rooted in one place and function as part of the room's eternal nature, such as mountains, rivers, trees and rocks. The artist explains, "I try to give up my visible perspective and look at the story contained in the object, its past and future together." It is a perception that includes past memories and future events to come. This indoor nature tells many stories due to much accumulated time, adding a weightiness to even the smallest object. Nap and Guest, a painting of her childhood home, resembles an unfolded picture of a torn-apart cube and yet is simultaneously free from the laws of physics. All elements tell the story with their own perspective and composition, and the viewer imagines what will happen throughout the house with the excitement of peaking into the magic box that mysteriously overlaps and opens. Kondo tries to let us hear a quiet voice beyond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by meticulously recording a dust-covered, mother-of-pearl mirror in the family's familiar space, the messy kitchen that should have been cleaned up, and the less noticeable necessities that show her great aunt's interest and daily life. Just as the artist herself did, I hope we experience the comfort and strength to live from that beauty, because your and my days are boring but precious, and commonplace but noble. Yukako Kondo has presented solo exhibitions such as Tales of Room (2021, O'NewWall Ejuheon, Seoul), Yukako Kondo and the Remembrance of Things Past (2013, Wyckoff House Museum, Brooklyn), and The Everlasting Table (2010, Art Factory, Seoul). She has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like Support SARUBIA (2023, Project Space Sarubia, Seoul), No Frame Market (2022, Art B Project, Seoul), Sul Won-ki Collection: 1+1 Collector's View (2021, One and J. Gallery, Seoul), The Room of Desires (2017, Raum Werk, Munich), The King of Table (2017, Entretempo Kitchen Gallery, Berlin) and Universal Studio Seoul (2014, Seoul Museum of Art). She received a BFA from Osaka University of the Arts in Japan and obtained an MFA in Fine Arts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chool of Visual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