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조도(花鳥圖)
2024. 4. 25 - 6. 1
전시를 단어로 규정하는 타이틀이 구체적일수록 대개 작품들은 예상 범위 안에 머문다. 오랜 종교적, 회화적 전통에서 우리에게 익숙해진 화조도 개념이 있다. 발복을 기원하고 부귀영화를 소망한다. 소재에 따라 상징하는 의미가 달라지니 무엇이 그려졌는지 알아보는 눈도 중요했다. 그러므로 공작새방 여섯 번째 프로젝트 《화조도(花鳥圖)》전은 다소 색다른 광경일지 모르겠다. 기실 ‘화’와 ‘조’는 너무나 일상적이고 보편적이어서 이와 관련된 기억과 경험, 느낌과 생각은 오히려 저마다의 뇌리에 독특하고 내밀하게 자리 잡는다. 작가들은 그렇게 자기 안에서 오래도록 키워온 망울을 ‘화조도’란 주제를 촉매 삼아 해석하고 꽃피워냈다. 몸짓의 흔적과도 같은 색채로써 감춰진 시적 아름다움을 은유하는 방식으로, 서사가 휘발된 평평한 이미지에 미묘한 정서가 스며드는 방식으로, 혹은 자연의 생명력에 경탄하며 봄의 정경을 반추하거나, 치유적 풍경 속에 자신을 투사하거나, 자연 요소들의 독특한 속도를 조율하는 방식으로.
도윤희
표면에 눈과 마음을 빼앗기면 볼 수 없는, 여러 층을 헤집고 깊숙한 저편 너머에 닿아야 비로소 어렴풋이 모습을 드러내는 가려진 본질, 찬란한 시적 아름다움의 실체를 인식하고 은유하여 추상으로 그려낸다. 촘촘한 연필선과 바니시로 아련하고 서정적인 작업을 하던 시기에나, 어둠에서 빛이 피어오르듯 몽글몽글 구름처럼 색이 번져가던 시기에나, 색채 자체를 질료 삼아 직관적이며 신체적인 흔적을 쌓아올리는 지금에나, 이 중심축은 흔들림이 없다. “내 안에 있는 것은 내 안에 있었다”라는 작가의 말처럼, 그 아름다움의 방향은 자신의 내면을 향해 있다. 그의 회화는 태고의 시간으로 거슬러 오르는 자아의 근원적 탐구이고, 나직이 읊조리는 자기 고백이며, 충돌하고 폭발하는 내적 감정의 외침이다. 어둑한 겨울 새벽의 보랏빛 대기가 떠오르기도 하고, 꽃이 화사하게 피어나다가 투명한 안개처럼 묘연해지도 하며, 전통적인 ‘도(圖)’의 그윽하고 애잔한 정서마저 자아내는 그의 ‘화조도’들은 가까이 들여다볼수록 또 다른 차원이 줄지어 트이는 듯 보는 이를 심연으로 이끈다.
전병구
오가며 직접 찍거나 SNS에서 택한 사진, 영화, 스포츠 중계 장면 같은 실재와 가상공간의 다양한 경로에서 즉흥적이고 감성적인 이끌림으로 수집된 이미지들을 담는다. 분명 눈과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깝고 도수 맞는 안경을 낀 듯 윤곽이 분명한데도, 그의 그림은 어떤 장면이나 대상을 ‘포착’했다고 말하기가 어색하다. 친숙한 대상이지만 구체적인 주변 정보들이 모조리 탈각되면서 그것을 붙들었거나 알아차렸다는 확신이 희박해지기 때문이다. 클로즈업된 대상에 닿아 있어야 할 작가의 시선마저 이미 한참 전에 아득히 먼 데로 가버린 듯하다. 무심코 캡처된 듯 보이기도 하지만, 그는 이미지를 고른 후 밀리미터 단위로 치밀하게 프레임을 설정하고 오차가 없도록 꼼꼼히 그림으로 옮긴다고 말한다. 주변적인 대상과 일상적 상황을 둘러싼 맥락을 정교하게 떼어내고 화면 중심에 세움으로써 도리어 지독한 비일상성을 획득하는 셈이다. 외로운 만큼 더 자유로운 까치의 푸르른 자리와 만개한 꽃무리에 봄기운이 차오르지만, 그의 그림에 전반적으로 감도는 예민함과 낯섦, 잔잔한 슬픔의 뉘앙스는 여전하다.
권자연
그의 작업은 기나긴 과정이며 찬찬한 기록이다. 존재했지만 보이지 않던 것, 하잘것없어 간과된 것 그리하여 이제는 까마득히 잊혀진 것들을 재발견해 그 축적된 흔적과 기억의 파편들을 드로잉, 사진, 설치로 채집하고 수용하고 보듬어왔다. 지나치게 개입하여 선별하거나 배제하지도, 무관심을 가장해 멀찍이 물러서지도 않는 권자연은 명철한 제삼자적 관점과 서정적이고 시적인 태도의 경계가 유연한 점이지대에 위치한다. 그곳에서 작가는 또 하나의 주체가 되어, 흩어진 시간과 기억의 단편들을 상상하고 추적하고 연결해 재배치한다. 이렇게 새로운 자리를 부여받은 ‘흔적 따라가기’의 시각적 기록들은 지나간 시공간의 단서들을 이끄는 지표가 되며, 현재를 통과하는 관람자와의 소통 속에 재맥락화된다. 이번에 전시한 드로잉 〈어떤 풍경〉은 작업실 안팎에 다가온 봄의 자취를 담았다. 화단 검은 흙이 어느 틈에 이름 모를 풀과 꽃으로 가득 차는 작은 기적, 흥에 겨워 그 사이를 누비는 새들을 보며 작가는 봄날 달뜬 마음을 숨기지 않는다.
박효빈
일상적인 경험 속에서 만난 자연 정경과 정물을 그린다. 산뜻하고 온화한 초록 팔레트가 넘실거리는 그의 풍경에는 파리의 공원, 유럽 어느 숲속과 같이 자신의 추억이 어린 장소들을 향한 그리움, 장엄하고 웅대한 대자연 앞에서 솟아나는 경외감, 따뜻하게 안아주는 나무와 숲이 건네는 위로와 위안, 번민과 욕망을 내려놓고 자연의 한 요소가 된 듯 자기 안으로 고요히 집중하면서 얻게 된 내적 치유의 순간 같은 것들이 반짝인다. 그는 산을 오르고 들을 거닐며 과슈로 사생하고, 스케치와 기억을 바탕으로 사이즈를 키워 그리는데, 이때 그는 회화가 갖는 물성을 놓치지 않는다. 구도가 잘 짜인 풍경 안에서, 안료의 질감과 농도, 붓질의 결과 강도를 자유로이 실험하며 다양한 효과에 도전한다. 움트는 봄 가지에 앉은 까마귀들은 인간사의 관조적인 관찰자이기도 하고 다치기 쉽고 섬세한 감정들이기도 하며 내면에 침잠해 고독을 즐기는 자신의 투영이기도 하다.
김재현
“각기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주변의 사물과 생물을 관찰”하고 “자연의 평범한 요소들이 어떻게 원활하게 작용하여 보이지 않는 연결된 구조와 유기적인 속도를 만들어내는지에 대해” 상상한다고 그가 밝혔듯, 생물과 무생물, 인간과 비인간이 이루는 생태계의 상호작용, 이질적인 물질들 간의 고유하고 역동적인 관계, 그 대화와 복합적 협력작용을 ‘속도’로 인식해 회화와 판화로 기록한다. 이러한 내적 탐색은 견고한 개념을 설정하고 그에 맞춘 질서를 구성하는 형식이 아니라, 다양한 시도들 사이에 생겨나는 교차점을 모색해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번 전시에서는 주변 생명체들이 도시환경에 적응해나가는 방식과 움직임에 주목, 꽃과 새의 서식환경과 그 흔적들을 드러냄으로써 그들뿐 아니라 우리 현대인이 직면한 삶의 모습을 상상해 표현했다.
프로젝트에 함께한 작가들에게 새와 꽃은 항상 회귀하고픈, 자신의 모습을 투영하는 동시에 삶을 풍요롭고 아름답게 해주는 주제이다. 관람하는 모든 이들도 마음 안에 피어난 소중한 무엇, 자신을 훨훨 날아가게 해주는 무엇을 찾아가길 소망하며, 이번 전시로 ‘화조도’라는 명칭에 딸린 고정관념에 조금이나마 신선함을 더했기를 바란다.
글 - 송연승
Hwajodo The more specific the title wording that defines an exhibition, the less likely the artwork will go beyond the expected description. The concept of 'Hwajodo' is familiar to most people and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in religious and pictorial tradition. Hwajodo with flowers and birds together was traditionally drawn as a wish for wealth, success, and good luck. Since the meaning of the symbolism varies depending on the subject matter, it's critical to have a keen eye to recognize what was drawn. Therefore, Gongjaksaebang's sixth project exhibition, Hwajodo, may be somewhat unexpected. In fact, 'Hwa' (flower) and 'Jo' (bird) are so common and universal, but people's memories, experiences, feelings and thoughts are experienced uniquely and intimately in their minds. Thus, artists blossomed the buds that were growing inside of them for a long time, using the theme of Hwajodo as a trigger for different interpretations. Yun-Hee Toh Toh draws a hidden essence which is dimly revealed only after digging through many layers and reaching far beyond the other side. If the surface enthralls the eyes and mind, this essence remains hidden. She recognizes the true nature of brilliant poetic beauty and metaphorically draws it into an abstract creation. This central axis remains unshakable, whether it is during a period of lyrical works with dense pencil lines and varnish, or when colors are spreading like clouds as if light were rising from the dark, or now when she accumulates intuitive and physical remnants using color itself as a material. As the artist said, "What was within me was within me," the direction of beauty comes from the inner self. Her paintings are a fundamental exploration of the self that goes back to ancient times. They are self-confessions recited quietly, and cries of inner emotions that collide and explode. Her Hwajodos remind us of purple air in the dawn of winter, her flowers bloom brightly and become subtle like transparent fog, evoking the deep and mournful emotion of the traditional 'Do' (picture). The closer we look into these, the deeper abyss we are led to, like dimensional layers that seem to open up sequentially. Byungkoo Jeon Jeon secures images collected spontaneously and emotionally from a variety of both real and virtual spaces, such as photos he took himself or images selected from SNS, movies, and sports broadcasts. Although the viewer can get close to the paintings and see crisp outlines as if wearing prescription glasse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is works 'capture' a scene or an object. This is because Jeon takes a familiar object and strips away all the specific surrounding content. This leaves little confidence that the objects have been captured or recognized. Even the artist's gaze, which should have been focused on the close-up object, seems to have drifted off long ago. Although the object appears to have been captured inadvertently, Jeon says that after selecting an image, he sets the frame to the millimeter and meticulously moves it to the picture to avoid any error. A great deal of exceptionality is acquired by elaborately separating surrounding objects and everyday situations from their context and making them stand center stage on the canvas. Despite the springtime from liberated magpies and flowers in full bloom, the nuance of calm sadness, sensitivity, and unfamiliarity still remain. Jayeon Kwon Kwon's works can be considered as long processes and well thought out records. She rediscovers what existed but was not seen, trivial things that were overlooked and thus, completely forgotten. Now she has collected and kept the accumulated traces and fragments of memory through drawing, photography, and installations. Kwon, who does not intervene or exclude too much, nor remove herself under the guise of indifference, is located in the transitional zone where the boundary between a clear third-party perspective and a lyrical and poetic attitude is clouded. In this space, the artist becomes another subject and imagines, tracks, connects and rearranges the fragments of scattered time and memories. Kwon's visual records, given a new position of "following the trace", indicate clues of past time and space and are recontextualized in communication with viewers in the present. Her new drawing, Some Landscape, captures the traces of spring approaching inside and outside the studio. The artist does not hide her excitement on a spring day, witnessing the small miracle of black soil suddenly turning into the flower bed filled with unknown grass and flowers and the birds wandering in excitement. Hyo-bin Park Park portrays scenes of nature and still lifes that she has encountered in her day-to-day experiences. In her landscapes full of fresh and gentle green palettes, she highlights longing for places from her memories, such as parks in Paris and forests in Europe. Awe rises in front of majestic and magnificent Mother Nature, consolation and comfort are given by hugging trees and forests, and moments of inner healing are gained by quietly focusing on oneself as if they had become elements of nature, putting aside their anguish and desire. She sketches with gouache, walking up mountains or through fields. Later she draws to scale, based on her sketches and memories, not mis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paintings. In a well-organized landscape, she freely experiments on the texture and concentration of paint and the intensity of brush strokes, challenging various effects. The crows sitting on the branches of the spring can be contemplative observers of human history, symbolizing injury-prone and delicate emotions, and also representing her projections of enjoying solitude by immersing themselves inside. Jaehyun Kim Kim once said that he "observes surrounding objects and living things moving at different speeds" and "imagines how ordinary elements of nature work smoothly to create an invisible connected structure and organic speed." He recognizes unique and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heterogeneous materials―living things and inanimate objects, the interaction of ecosystem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and that complex cooperation as 'speed', recording them as paintings and prints . This inner exploration takes place not in a way of setting up a solid concept and constructing an order accordingly, but a way of seeking the intersection that arises between various attempts. In this exhibition, he focuses on the way and movement of surrounding creatures to adapt to the urban environment. Thus, he reveals the habitat of flowers and birds and their traces, and also imagines a life that modern people are facing as well. For the artists who have worked on the project, birds and flowers are subjects that they always want to return to. They are also self-projectable subjects that make life rich and beautiful at the same time. I hope every viewer could discover something precious blooming in their hearts that frees them, and this exhibition could add some fresh variations to the stereotype 'Hwajodo'.